카지노 도박 사이트

[한영수 칼럼] 글로벌 강소기업을 위한 인재양성

요즘 9988이라고 하면 보통 99세까지 팔팔하게 살자는 건강캠페인을 떠올리지만 그 못지않게 중요한 다른 의미가 있다. 즉, 전체기업의 99%, 총고용의 88%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국민경제적 중요성을 뜻한다. 40년전에 비해 중소기업의 위상은 올라갔지만 중소기업 문제의 핵심은 오늘날에도 크게 바뀌지 않았다. 아직도 중소기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대기업의 1/3에도 못 미치며 중소기업의 수출은 우리나라 총수출의 32%에 불과하다. 내수위주의 중소기업은 경제양극화의 피해계층으로 전락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대기업 위주의 성장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중소기업이야말로 우리 경제의 미래에 더 큰 변수이기에 중소기업정책은 더이상 경제정책의 변방에 위치한(사회정책에 가까운) 약자보호정책이 아니라 성장정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지금처럼 대기업에 의존하여 연명해가는 영세기업이 아니라, 글로벌 경쟁에서 당당히 대기업과 경쟁 또는 협력해 나가는 강소기업(Small Giants)이 되어야 한다. 강소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하지만 가장 우선돼야 하는 것은 좋은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다.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 전통적으로 산업경쟁력이 강한 나라들의 공통점은 실력있는 강소기업이 많고 이들 기업은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많이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배경에는 탄탄하게 자리잡힌 체계적인 직업교육 시스템, 실용중심의 사회적 관행, 그리고 투철한 직업의식과 가치관이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뿌리깊은 학벌중심, 간판중심(대기업 선호), 인문중심(화이트 칼라 선호) 사고로 인해 중소기업의 인력난은 좀처럼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학력인플레, 이공계기피, 실용교육의 폄하가 맞물려 생긴 구인구직 미스매칭으로 중소기업의 빈 일자리는 25만자리에 이르고 있는데, 4년제 대졸자의 절반은 일자리를 못찾고 있다. 중소기업인력의 문제점은 현행 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그대로 반증하고 있다. 고등교육 이수율은 세계 최고수준이나 대학교육의 사회부합도(OECD 58개 국가중 46위)는 하위수준에 있다. 우리사회에 팽배해 있는 학벌중시문화, 상부구조의 인력양성에 편중된 교육정책, 그리고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적 몰인식으로 직업교육 체제가 미흡하다. 획일적인 학력의 사다리(hierachy)에 가려 선진국의 다양한 직업교육 경로는 조명되지 못한 채 직업교육은 낮은 학제적 위상에 머무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산업대학 대부분이 일반대학으로 전환되어 직업교육 기반(전문계고-전문대학-산업대학)은 더 허약해졌다. 최근 정부가 마이스터고특성화고를 육성하고 전문대학의 특성화와 질적수준을 높이는 등 직업교육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은 다행이나 차제에 더 과감한 정책전환이 있어야 한다. 첫째, 맹목적인 대학진학과 허술한 학점관리로 유명무실한 대학졸업생만 양산하고 국가적 낭비를 초래하는 현행 입시제도를 바꿔야 한다. 프랑스식 대학입학자격시험을 도입하여 대학진학이 아니라도 일찌감치 다른 재능을 살려 다양한 진로를 모색하도록 하고 대학졸업자격시험제를 도입하여 실력있는 대학 졸업자가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이공계 기피현상을 더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 이공계 출신이 현역입영시 최종 6개월간은 중소기업체에 근무할 수 있도록 하여 구인구직의 미스매치를 개선시키는 방안, 고위공무원단및 국영기업공공기관 임원의 일정비중(예:30%) 이상을 기술직렬 또는 이공계 전공자로 충원하는 방안 등 과감한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직업교육 강화와 사회인식 변화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전문대학을 국제수준의 마이스터대학으로 특성화하고 마이스터고와 연계하여 중소기업형 인재를 양성하는 학제의 정비와 함께, 사원채용이나 보수체계에서 학력이 아닌 능력이 기준이 되도록 하고 직업교육의 위상을 높여 기능기술인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한영수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총장

[한영수 칼럼] ‘반값 등록금’을 넘어서

이제 반값 등록금의 문제는 사회적 이슈를 넘어서 정치적 슬로건으로 공약경쟁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갈길이 바쁘다고 해서 표피에 나타난 등록금 문제 이면의 불편한 진실들(대학교육의 문제점)을 외면할 수는 없다. 등록금 인하를 위해 최근 정부 대학이 쏟은 노력으로 부분적인 성과는 거두었지만 반값 등록금을 넘어서 대학교육의 근본적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반값 등록금의 문제를 세가지 관점에서 보고자 한다. 첫째는 절대물가의 관점인데 등록금이 다른 물가에 비해 지나치게 비싸다고 보는 것이다. 생계에 허덕이는 학부모(또는 학생 자신)의 부담감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다른 한편 대학교육이라는 복합적 지식서비스를 다른 물가와 비교하는 것도, 천차만별인 대학간의 질적인 차이를 무시하고 획일적으로 반값을 적용하는 것도 비현실적이다. 또한 국가 재정지원 규모를 무시하고 국가간에 등록금을 단순 비교한다는 것도 무리가 있다. 얼마전 모시립대가 솔선수범한 반값 등록금 실행은 사립대에서는 수범사례로 따라할 수 없는 부러운 남의 얘기일 뿐이다. 정부가 모든 국공사립대에 대해 차별없이 재정지원을 한다면 몰라도 말이다. 그렇다하더라도 대학들이 해야할 일은 자명하다. 대학 유보금의 적정성 확보와 함께 대학운영상의 비효율을 최대한 제거하여 등록금을 내리는 노력이 우선돼야 할 것이다. 두번째 관점은 득실비교의 관점으로 등록금 절대액이 높다기보다는 대학교육을 통해 얻는 이득에 비해 등록금이 비싸다는 것이다. 4년제 대학 평균 취업률이 50% 수준이니 나머지 청년백수의 입장에서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이는 대학교육의 수요공급간 미스매치와도 연관되는 문제인데 일부 순수학자적 반론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대학교육의 실용성에 회의적 시각을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관점 또한 대학간의 차이를 무시하고 대학 전체를 획일적인 반값의 잣대로 재단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긴 하지만 대학들은 수요자(학생학부모기업)에 더 귀기울이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만족도를 높이거나 등록금을 내리든지, 아니면 대학 전반의 구조조정 흐름에 동참해야 할 것이다. 세번째 관점은 공공재적 인식의 관점으로서 모든 국민들이 대학교육 서비스를 싼 값으로 이용해야 하는데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세계에 유례가 없는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보면 대학 등록금은 유럽 국가들처럼 거의 무료 수준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기이한 것은 정작 대부분의 대학이 국립인(등록금이 무료수준인) 프랑스, 독일 등 국가에서 절반 이상이 대학에 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비싼 등록금에도 불구하고 80%가 대학에 가는 우리와는 정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과잉학력(대졸실업, 하향취업)비율이 42%로 추산되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효율은 무려 39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전국민의 대학졸업 현상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대학교육을 유럽스타일의 공공재로 인식한다면 재정부담은 가히 천문학적 규모가 될 것이다. 반값 등록금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인 문제해결 방안은 우리사회의 병리현상인 학력인플레를 시정하고 대학을 못 가는게 아니라 안가는 선택이 보편화 되도록 대학교육 전반을 개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의 총체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과잉학력의 거품이 빠지면 사회적 비효율이 제거됨은 물론, 대학졸업장은 제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며 국가와 대학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학생의 등록금 부담은 크게 경감될 것이다. 정부가 근래 마이스터고,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고졸 출신의 지위향상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은 다행이나 차제에 정부는 4년제대학-전문대학-전문계고교간의 역할과 특성화를 강화하고 부당한 학력차별을 시정하는 과감한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한영수 경기과학기술대 총장

오피니언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