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3·1 운동-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일제 잔재를 지우자] 下. 전문가 제언

전문가들은 3ㆍ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사회 전반적으로 남아있는 일재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전담기구를 설치하고 체계적인 고찰를 통해 한민족의 역사와 정체성을 바로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지난 1945년 광복 직후 사회를 지배한 이데올로기가 반일이 아닌 반공이었던 점이 현재 상황을 초래했다며 한시적으로라도 반민특위와 같은 전담기구를 운영하고 지명, 인쇄ㆍ출판, 교육 분야에서 체계적인 고찰로 일제 잔재 청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경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지난 1945년 9월 미 군정이 한반도에 들어오면서 중간관리자를 채용할 때 행정경험이 있는 자를 우대해 친일파 출신 인사들이 정계와 관직에 진출하기 시작했다며 이때문에 친일청산 문제를 공적으로 논의 삼은 반민특위가 불과 반 년만에 무력화 됐으며 이광수를 비롯한 친일 작가들도 나의 고백 등을 통해 교묘하게 빠져나갔다고 설명했다. 또 임 교수는 이미 공문서에도 일본어뿐만 아니라 외래어가 침투한지 오래이며 대학에서 실시하는 외국어 강의도 우리 말이 학문 언어이길 포기한 사례로 굳어졌다며 국립국어원에 강력한 권한을 부여해 사회전반적인 재홍보와 재교육이 필요하며 언론에서도 주기적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다뤄야 한다고 말했다. 배우리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은 지난 1914년부터 1917년까지 진행된 창지개명의 여파가 1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있다는 점은 부끄러운 일이라며 지명전문가와 정부ㆍ자치단체가 협력해 일제시대 창지개명된 국내 지명 180만여 곳을 조사하고 이곳의 이름을 정상화 하면서 관련 공공기관 및 단체명도 점진적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달호 민족문제연구소 수원지부장도 이광수, 최남선, 서정주 등 친일작가들의 작품이 교과서에서 다뤄진다는 것 자체가 작금의 현실을 반증한다며 현재 국보1호인 숭례문과 보물1호인 흥인지문 모두 일제시대때 지정된 유물들로 광복 이후 훈민정음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유산에 대한 재조명 대신 무비판적인 승계가 이뤄져 비판의 여지가 있다라고 말했다. 또 이 지부장은 과거 신라 경덕왕 시절 왕권강화를 위해 중국 당나라의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국내 지명의 상당수를 한자화해 현재는 돌이킬 수 없게 됐다며 문제의식과 해결책 없이는 이 같은 역사가 반복될 가능성이 높으며 익숙하게 쓰면 금방 바뀐다라는 생각으로 지명과 언어생활에 있어 의식적인 우리말 사용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오탁기자

[3·1 운동-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일제 잔재를 지우자] 中. 공공기관 일본식 지명·관행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했지만 정부와 행정기관은 문제 의식없이 일본강점기에 생겨난 지명과 관행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제가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낸 지명의 다수가 현재 교육기관 및 지자체 명칭으로 버젓이 쓰이고 있음에도 우리 고유 지명 변경에 대한 노력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25일 한국땅이름학회 등에 따르면 일본강점기 당시 행정구역 중 면은 1천338개에서 2천521개로 늘어난 반면 군은 377개에서 220개로, 리는 6만 2천532개에서 2만 8천366개로 줄어 들었다. 일제가 조선총독부를 앞세워 조선의 땅을 조사하고 행정구역 폐합 정리가 필요하다는 구실로, 조선토지조사사업에 착수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시 일본은 경기지역에 1만 1천여 개의 고유지명을 없애고, 자신들의 편의에 따라 지명을 대대적으로 개명했다. 신구대조조선전도 부군면리동 명칭인감에 따르면 경기도는 히가키 나오스케 조선총독부 경기도 장관이 1914년 4월1일 군면 통폐합에 나섰다. 이때 통폐합으로 양지현이 용인군 양지면과 안성군으로 나뉘어 현재의 용인시와 안성시로 굳어졌다. 아울러 현재의 분당 부지도 장터(盆店ㆍ분점)와 당모루(堂隅里ㆍ당우리)를 억지로 합쳐 앞글자만 따 분당이라는 이름으로 통폐합했다. 또 인천의 송도도 러일전쟁 당시 침몰한 일본의 마쓰시마(松島ㆍ송도)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해 현재도 송도신도시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지명 외에도 관행 측면에서 국기에 대한 맹세는 황국신민의 서사를, 국민교육헌장은 교육칙어를 모방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어 우리 정서와 실정에 맞는 국민 헌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인감제도도 1914년 시행된 제도로, 인감으로 신고하지 않을 경우 토지를 국유화하는 토지수탈 작업과 전쟁동원 물자 조달을 쉽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됐다. 지난 1990년대 초부터 일본과 대만은 인감제도가 등록제로 바뀌었지만, 아직도 우리나라는 사회 곳곳에서 인감이 필요한 실정으로 일제 잔재 관행이 여전히 남아 있다. 배우리 한국땅이름학회 명예회장은 아직도 일본인들이 멋대로 지은 명칭을 그대로 두거나 이를 본 따 공공기관명을 짓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느끼지 않는 것은 겨레의 수치라며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는 이때 우리 지명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변경에 대한 노력 등 최소한의 인식 전환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오탁기자

[3·1 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일제 잔재를 지우자] 上. 생활속 일본말ㆍ문화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전국적으로 독립투사들의 노고와 이들이 투쟁한 장소를 알리는 등 적극적인 조명이 이뤄지고 있지만 일제 잔재에 대한 해결방안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운요호 사건으로 빚어진 1876년 조일수호조규(강화도 조약) 체결 직후 국내에 유입된 일제 문화가 아직까지도 우리 사회에 암약해 올바른 언어생활을 해치고 국적이 불분명한 풍습을 양산해냈다고 지적한다. 이에 본보는 약 150년 간 우리 사회에 파고들어 언어와 풍습 등 문화 깊숙히 자리잡은 생활 속 일제 잔재를 조명하고, 이를 뿌리뽑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해본다. 편집자 주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공사장 용어 중 대다수가 일본어라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대학생 박기형씨(26ㆍ평택)는 겨울 방학을 맞아 지난 두 달간 공사장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용어를 익히느라 애를 먹었다. 막일꾼을 칭하는 용어 노가다 는 물론 기스(흠집), 공구리(콘크리트) 등의 현장 용어가 일본어에서 파생됐다는 점은 알고 있었지만 나라시(평탄화 작업), 와꾸(틀) 등은 생소했기 때문이다.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은 올해에도 일상 속에 남아있는 일본식 용어와 풍습이 많아 이를 타파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더욱이 지난 1월 개봉한 영화 말모이에서 언어로 민족의식을 고취하려 한 선조들의 노고가 재조명돼 일제 잔재 타파 여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우선 문학계에서는 소공녀, 춘희 등 과거 일본을 거쳐 수입된 외국 동화의 원제가 각각 A Little Princess(어린 공주), La Dame aux camelias(동백의 여인) 임에도 여전히 일본식 번역체 제목을 쓰고 있다. 언론계에서 쓰는 업무 용어도 일본식 표현이 남아있다. 우라가에스(뒤집다, 변경하다)에서 파생된 우라까이(기사의 내용과 핵심을 돌려 씀), 날끝(山)을 뜻하는 단어에서 생겨난 야마(기사의 핵심 내용) 등이 단적인 예다. 교육과 문화 분야에서도 유치원은 독일어인 Kindergarten(어린이들의 정원)을 일본식 번역체로 명명한 일제 잔재로 여겨지며, 어린아이들의 놀이인 쎄쎄쎄 도 손을 마주대다 라는 뜻을 가진 일본어 셋스루 에서 생겨난 놀이로 알려져 있다. 풍습면에서는 제삿상에 올리는 정종과 청주도 일제 잔재 중 하나이며, 장례문화도 지난 1934년 조선총독부의 의례준칙에 의해 고인에게 입히던 비단옷이 삼베로, 상주가 들던 지팡이가 완장으로 바뀐게 현재에 이르렀다. 전문가들은 3ㆍ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은 현재에도 우리 생활 속에 일제 잔재가 남아있는 원인으로, 인식 부족을 지목했다. 단순히 생활 속에서 의미가 통한다는 이유로 어렸을 적부터 일본식 용어에 노출돼 아무 문제의식 없이 사용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임경석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는 광복 이후 정책적 논의 없이 막연하게 생활 속에서 개선해야 할 문제로만 여긴 것이 원인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국립국어원 등 기관을 통한 교육은 물론 장기적인 정책 수립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오탁기자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