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판로를 열어라! 농업 新경쟁력 시대] 完. 전문가 제언

▲ 신광수 교수, 원혜영 이사 농업의 신(新)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문가들은 농림수산물 유통체계의 변화와 세계시장 공략 등을 강조했다. 22일 신광수 건국대 국제농업협력센터 연구교수, 원혜영 (사)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 이사, 김병률 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농산물 거래에서 가격을 좌우하는 밴더(중간수집상) 중심의 불안정한 중간 유통체계와 부진한 내수 및 수출을 타계하려면 ▲생산자와 소비자의 새로운 연계ㆍ소통 방식 개발 ▲세계시장을 공략할 전략적인 농산물 수출 ▲자체 품종 개발ㆍ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신광수 교수는 “농산물 생산자의 공급망을 지역ㆍ상품별, 지역 농협 및 농산물 유통법인체별로 계통 출하하는 시스템을 강력히 구축해야 한다”며 “여러 작은 조직체(개별 농가)의 생산 현황과 계획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대형유통업체 및 도매시장과의 공급체계를 구축하는 제3자 전문 물류(계약물류) 공급망과 연결해 소비자가 원하는 품목ㆍ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선진 물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신 교수는 “농가가 목적별 생산자 그룹을 결성해 동질성을 강화하고 다시 산지 유통 중심으로 조직화해 고가의 상품화 시설을 확보하는 등 규모 효과를 발휘하는 체계도 필요하다”면서 “일본 전역에 1만 6천 곳의 직판장에서 팔리는 농산물 판매액이 국가 전체 농산물 판매액의 10%다. 소비자로부터 신뢰받는 로컬푸드매장을 식당과 연계해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면 국내산 농식품의 소비가 크게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신 교수는 “농림수산물의 무역수지 적자를 해결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라며 “작은 수출기업 대신 소량 다품종을 수출하는 기존 전문수출 기업을 통해 현지 시장에 쉽게 진출하도록 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해외지사 등 수출전문기관을 활용해 단순 물량 위주가 아닌 효율적인 농수산물 수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원혜영 이사는 “현재 대부분의 밴더는 단순히 유통시스템만 갖춰 배송하거나 개별 생산자와의 직거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며 “농가와 소비업체 간 효율적인 거래 및 직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순 중간 밴더나 개별 생산자와의 거래보다 생산자의 특성과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상호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는 생산자단체, 공동조합과의 거래를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원 이사는 “소비업체가 농가를 방문해 식재의 생산 현장을 둘러보면서 품질 검증을 하고, 생산자의 마인드 등에 교감하는 산지투어 프로그램과 직거래가 이뤄질 수 있는 전문 B2B(기업 간) 박람회 등이 마련돼야 한다”며 “과거처럼 품목 양상이 아닌 소비자의 필요 품목과 특성을 고려한 생산이 이뤄지도록 해야 하고, 정기적 소통을 통해 소비 트랜드를 반영한 생산이 이뤄질 수 있는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병률 선임연구위원은 “원료 농산물의 수출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결국 1차, 2차 가공의 부가가치가 높다”며 “수출전략지역인 평택 등에 가공 허브 단지 등을 육성해 물류비용을 절약하고 가공기업을 집적화해 기술 및 정보공유의 효과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선임연구위원은 “로열티 지불로 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만큼 원예시장도 이제 종자전쟁이다. 종자가 금보다 비싸다고 해 정부에서는 ‘골든 시드 프로젝트’(Golden Seed Project)를 시행한 만큼 정부는 물론 경기도에서 예산을 더욱 적극 투자해 우리 품종의 경쟁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화훼 품목별로 집적화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접목선인장을 해당 농가가 모여 있는 고양에서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도내 버섯전문단지를 갖추는 등 지자체별 특성화도 판로 개척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판로를 열어라! 농업 新경쟁력 시대] 4. 세계 속 꽃 피우는 원예 신품종

경기불황에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꽃 시장이 된서리를 맞으면서 다양한 화훼 품종 개발을 통한 세계시장 진출이 로열티 수익을 창출하며 도내 농가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21일 경기도농업기술원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서울경기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국내 화훼시장은 시설 노후화와 로열티 부담 증가에 따른 생산성 저하, 복잡한 유통구조, 편향된 소비구조, 수출구조 취약 등의 이유로 성장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경기불황과 청탁금지법 시행이 맞물리면서 1인당 연간 국내 화훼 소비액은 지난 2005년 2만 870원에서 2016년 1만 1천722원으로 44%나 감소했고, 화훼 생산규모도 같은 기간 1조 105억 원에서 5천602억 원으로 반토막(45%)이 났다.수출 역시 1995년 636만 3천 달러에서 2010년 1억 306만 달러로 치솟는가 싶더니 지난해 2천363만 달러로 곤두박질 쳤다. 게다가 외래 품종 유전자원의 경우 수입은 물론 품종개발 시에도 해외 보유업체에 로열티를 내야 해 국내 화훼 업계는 이중고를 떠안게 됐다.하지만 도 농기원은 이같은 현안을 타개하기 위해 장미, 선인장 등 자체 개발 품종으로 국내 판매 및 해외 수출액, 로열티 수익 확보 등 도내 화훼 산업의 디딤돌이 되고 있다. 도 농기원이 개발한 딥퍼플, 쇼걸, 레드드레곤 등 장미 16품종은 에콰도르, 콜롬비아 등 28개국 260개 농장에 451만 주를 수출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9년간 로열티 세입 10억 원을 거둬들였다. 국내 로열티 절감 효과도 봤다.장미 49품종 238만 9천 주 보급을 통해 24억 원, 국화 240품종 1천973만 4천 주 보급으로 3억 9천300만 원 등을 절감했다. 또한, 도농기원은 접목선인장 ‘레드락’ 등 선인장 116품종을 개발해 지난해까지 80품종 112만 주를 보급했고, 에케베리아 ‘아이시그린’ 등 58품종을 육성해 45품종 75만 주를 보급했다. 이와 함께 플라워경기영농조합법인(파주시)은 장미 품종 비스트를 가공한 매직로즈(염색장미) 등 생산량 31만 5천 본 중 70%를 일본에 수출하고, 나머지 30%를 내수시장에 판매해 지난해 2억 5천만 원의 수익을 냈다. 또 도내 대표적인 접목선인장 수출 농가인 고덕원예무역(고양시)은 작년 네덜란드ㆍ미국 등 17개국에 비모란 ‘옐로우벨’, 산취 ‘골드락’ 등 254만 본을 수출해 15억 원의 수출 성과를 달성했다. 김건중 고덕원예무역 대표는 “국내 화훼시장이 침체해 있지만, 도 개발 접목선인장은 고유 품종이라 로열티 부담이 없고, 해외 선호도도 높아 생산보다 주문이 많을 정도”라며 “오히려 주문량을 못 채워 거래가 중단될 일이 걱정이다”고 설명했다. 이런 노력으로 경기도의 지난해 선인장 수출액은 323만 8천 달러로 전국(419만 7천 달러)의 77%를 차지했다. 도의 기타화초(다육) 역시 127만 4천 달러로 전국(355만 달러)의 36%를 차지하면서 전체 시장을 이끌고 있다. 도 농기원 관계자는 “화훼 시장을 더욱 활성화하려면 고품질 생산기반을 확충하고 선진 유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과 수출시장 다변화 등으로 화훼 시장을 더욱 넓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판로를 열어라! 농업 新경쟁력 시대] 3. 농산물 수출, 재가공이 돌파구!

경기도의 농림수산물 무역수지가 만년 적자를 면치 못하면서 생산물 재가공을 통한 수출 판로 개척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경기도의 주요 농림수산물 수출 품목은 배ㆍ포도ㆍ신선버섯 등으로, 다른 지역보다 생산 품목이 제한적인데다 해외물류이동에 적합하지 못한 지정학적 원인 등으로 수출이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다. 게다가 항만까지 이동거리가 길어 생산물 보관기관도 한계가 있어 농림수산물 수출이 막히고 있다. 경기도 농림수산물 무역수지는 지난 2015년 -54억 달러, 2016년 -56억 달러, 지난해 -61억 달러로 매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내수시장 역시 만만치 않다. 쌀은 소비량 감소로 벼 작물 생산을 줄이고 있고, 각종 농림수산물도 수입이 현저하게 떨어져 무역수지가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경기남부지역본부 관계자는 “경기도의 수출은 반도체와 자동차를 비롯해 관련 부품 산업이 주를 이루는 반면 농림수산물은 주요 품목 순위에도 못 오르는 미미한 수준”이라며 “수출입지도 불리해 내수시장에 주력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도내 농림수산물 수출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재가공품 수출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성남시 소재 맘모스제과는 쌀ㆍ밀ㆍ현미 등을 사용해 각종 쌀 가공식품을 개발ㆍ출시해 수출하고 있다. 지난해 원재료로 파주시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에서 국내 쌀 4.38t을 사들여 다양한 종류의 쌀과자를 출시했다.미국과 러시아, 홍콩은 물론 올해 계약을 체결한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전 세계 모든 대륙에 경기도 쌀로 만든 쌀과자를 수출하고 있다. 2016년 262만 달러에서 지난해 318만 달러의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세준푸드(광주시)는 경기도 쌀로 만든 식혜를 전 세계 시장에 널리 알리고 있다. 이 업체는 지난해 연간 65t의 100% 국내 쌀을 이용해 바나나식혜, 호박식혜 등을 제조해 전 세계 180t을 수출, 18만 달러의 수출액을 달성했다. 전체 이용 쌀 중 90% 이상을 농협 등을 통해 임금님표 이천쌀과 김포쌀 등 경기미를 사용한다. 이밖에 하남 소재 김 가공업체인 만전식품은 국내 생산 김으로 조미 김부터 김밥용 구운 김, 김 스낵, 김자반 등 각종 가공품을 수출하고 있다. 이들 가공업체 덕분에 저조한 농림수산물 무역수지 속에서 해당 품목들이 선전을 거두고 있다. 지난해 해조류(조미 김, 구운 김 등)는 9천432만 달러, 김(말린 김 등) 4천945만 달러, 비스킷(쌀과자 등) 106만 달러 등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강인구 aT 서울경기지역본부 수출유통부 차장은 “국내 소비 감소와 전반적인 수출 실적 악화 등 상황에서 세계인의 입맛에 맞게 가공해 수출하는 방향이 농림수산물의 새로운 판로로 인식되고 있다”며 “나아가 가공을 통한 농림수산물의 수출은 과잉생산 시 물량을 해외로 분산시켜 국내가격을 안정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판로를 열어라! 농업 新경쟁력 시대] 2. 유통단계 줄여 ‘농가소득 UP’

농가와 외식업체 사이에서 농산물 가격을 좌지우지하는 밴더(Vendor·판매인)를 대체할 새로운 중간 유통단계의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15일 경기도와 농협,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도내 농가 등에 따르면 농가와 외식 및 식품제조업체 사이에서 농산물을 수매하는 밴더들이 수매 가격을 마음대로 조절하고, 가격을 낮추고자 수매 시기를 일부러 미루는 등 농산물 유통 체계에 대한 폐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이에 여전히 생산자 수취는 58% 수준에 불과하다. 소비자가 100원에 농산물을 사면 생산자에게 58원이 돌아간다는 얘기다. 도내 한 농민(여주)은 “밴더들이 수매를 한 뒤 추가로 더 구매하겠다고 말하고는 구매를 뒤로 미루는 일이 다반사”라며 “생산농가가 농사를 지으면서 납품까지 신경을 쓰기는 현실적으로 힘든 구조로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농산물을 수집해 납품하는 밴더들과의 거래를 끊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농협과 경기도가 도내에 세운 대규모 유통물류센터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농가와 식품업체의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한 것이다. 농협이 세운 농협 안성농식품물류센터(안성시 미양면)는 전체면적 5만 8천140㎡(1만 7천587평) 규모에 집배송을 위한 86개의 도크(Dock)를 갖춘 집배송장을 갖추고 있다.이곳에서는 도내 각 지역 농협에서 모인 농산물이 다양한 품목별로 모여 전처리와 소포장(18개 벨트) 과정을 거쳐 하나로마트(70%)와 학교급식(10%), 기타(20%) 등 다양한 판매처로 이동된다. 이를 통한 물류비용절감 효과는 4.4%에서 최대 7%에 달한다. 생산자의 주문에 맞춰 농산물로 파채와 계란말이용 채소까지 소포장할 수 있다. 경기도가 마련한 학교급식 음식재료 전문 유통창구인 경기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광주시) 역시 물류 집적화 기능과 투명한 유통구조로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수요 창출 역할을 하고 있다. 총 16개 유통 및 식품업체가 입주해 지난해 취급 물량만 2만 4천314t에 달하는 등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매출액도 매년 증가하면서 농산물 유통도 활기를 띠고 있다. 농협 안성농식품물류센터의 매출액은 지난 2014년 6천742억 원, 2015년 7천309억 원, 2016년 7천709억 원, 2017년 7천431억 원 등 최근 4년간 2조 9천191억 원에 이른다. 경기친환경농산물유통센터도 2014년 820억 원, 2015년 893억 원, 2016년 1천71억 원, 지난해 1천137억 원 등 4년간 3천92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정재구 농협 안성농식품물류센터장은 “소비처에서 미니 과일을 주문하면 거래하는 농가에 생산품목을 제안하는 등 소통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며 “마트는 물론 최근 성남시 학교급식에 간식 음식재료를 납품하기로 하는 등 여러 판매처를 확보해 농가에 안정적인 수매를 보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류인권 도 농정해양국장은 “G마크를 통해 유통과정 중 어느 단계에서라도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검증시스템을 마련하는 등 생산자의 입장에서 많은 수익을 보장하고,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안내하는 방안 등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판로를 열어라! 농업 新경쟁력 시대] 1. 식탁 만족 ‘테이블 투 팜’

쌀 소비와 농가인구가 감소하면서 농산물 생산과 유통에 난항을 겪는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만 가고 있다. 외식업계와 식품제조업체 등의 시장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진 것과 견주어 볼 때 여전히 농촌의 작물 생산과 유통의 어려움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보는 새로운 음식 문화와 유통 경쟁 시대에 맞는 우리 농산물의 판로 개척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본다. 편집자주 “요리에 사용하는 음식재료를 농가에서 직접 받으니 비용도 절감되고 농작물 수매도 보장받는 윈윈(Win-Win)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14일 하남시 망월동에 위치한 갈비전문점 송추가마골 하남미사점에서 만난 조승현 구매팀장은 음식재료 냉장실에서 반찬으로 내놓는 각종 채소를 보여주며 말했다. 이 음식점은 갈비와 함께 싸먹을 수 있는 케일, 치커리, 청겨자, 신선초, 치콘, 로메인 상추 등 각종 쌈 채소를 풍성하게 손님상에 내놓는다. 이 중 지난달부터 시범적으로 영농조합법인을 통해 이천의 한 농가에서 재배하는 로메인 상추를 납품받고 있다.영농조합법인을 거치고 있지만, 과거 도매시장에서 경매를 통해 음식재료를 구매할 때보다 물류비나 위탁수수료 등 중간 비용에서 10~15%의 절감 효과를 봤다. 조 팀장은 “도매시장에서 음식재료를 구매할 때는 비용 부담과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직거래 방식을 시도하면서 농가와 상생할 수 있어 전 매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곳에 로메인 상추를 납품하는 이 농가는 5만 2천892㎡(1만 6천 평) 규모의 비닐하우스 80동에서 각종 채소를 생산 중이다. 지난 2월부터는 한 백화점에 직거래로 매일 상추와 고추 등 10여 가지의 채소를 납품해 하루평균 400만 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 농가주는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생산, 직거래로 유통하니 수매가 보장되고 안정적인 거래는 물론, 소득증대까지 이어져 힘이 난다”고 말했다. 이처럼 최근 농가들이 여러 단계의 유통 단계가 아닌 직거래 등 소비자의 요구에 적극 부합하는 농산물을 생산ㆍ유통하는 방향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서울경기지역본부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도내 농가인구는 32만 5천 명, 농업생산액은 3조 원에 머물고 있다. 이에 반해 도내 외식업체 13만 7천 곳, 식품제조업체 1만 곳에서 각각 27조 920억 원, 21조 4천290억 원의 매출을 올려 확연한 시장규모 차이를 보이고 있다. 농가보다 매출 규모가 큰 외식업체나 식품제조업체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방식으로 판로를 개척한 것이다. 남양주시 식품제조업체인 하늘농가는 영농조합법인을 통해 여주의 한 농가에서 계약재배로 연 3억 원어치의 도라지를 직거래하고 있다. 또 김포 영농조합법인을 통해서도 농가의 연근 60t(시가 2억 원)을 직거래해 학교급식 제품으로 납품하고 있다. 조익춘 aT 서울경기지역본부장은 “외식업체는 도매시장을 통해 음식재료를 구매할 때 비용 부담이 컸고, 구매과정도 복잡해 번거로움이 있었다”며 “생산농가에서도 외식업체의 요구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하면서 직거래를 하는 등 판로를 넓힐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최현호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