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지속가능한 미래, 공유농업이 답이다] 하. 경기도의 실험

국내에서는 지역사회 기반의 공유농업이 이제 막 실험을 시작한 수준이다. 하지만, 4차산업 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농정 전략으로 공유농업은 많은 가능성을 던져준다. 소비자는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얻고 농업인은 새로운 소득 창출, 농촌은 활력을 얻을 수 있는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 경기도는 이런 공유농업의 실질적인 구축과 확산을 위해 자원 공유, 협력생산으로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우선 민간의 플랫폼 기업이 사업을 주관, 공유 농업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공공부문은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한다. 현장에서 운영하는 현장 활동가를 조직, 사업에 참여하는 농업인과 소비자는 공동체로 조직화한다. 이 경우 소비자는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 서비스로 보상받으면서 농업ㆍ농촌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농업인은 새로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텃밭, 체험농장 등 지역 내에서 연대해 농촌 공동체가 소유한 농지(농촌자원)를 플랫폼을 통해 매칭된 도시 공동체에 분양하고 농사는 농촌 공동체가 담당하며 수수료는 플랫폼을 통해 농촌 공동체에 전달하는 도시농업 확장형을 진행했다.올해는 클라우드 펀딩을 접목한 주문형 생산으로 생산자 조직화를 목표로 한다. 도시 공동체의 사전 주문에 따라 생산계획을 수립, 농촌 공동체는 수립된 계획에 따라 농산물을 생산하고 수확한 농산물을 도시 공동체에 인계하는 방식이다. 구매대금은 계획 수립 때 농촌 공동체에 지급해 영농자금으로 활용한다. 내년에는 인공지능(AI)기반의 소비자 개인 맞춤형으로 AI에 계획 생산을 더해 전국 단위로 확장한다. 특히 IC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거래 비용을 최소화하고 농촌 환경 보전, 소비와 생산의 미스 매칭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오는 2022년까지 도내 농산물 생산량의 10%, 1천억 원 규모로 공유농업 비중을 확대하기로 하고 공유농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공유농업 활동가 육성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자연기자

[지속가능한 미래, 공유농업이 답이다] 중. 세계 곳곳에 뿌리 내리는 공유농업

농촌과 도시, 생산자와 소비자를 잇는 새로운 유통방식은 전 세계적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이어 소비자와 생산자가 직접 만나거나 지역 주민이 일정 금액을 영농지원금으로 투자를 받는 등 농업을 공유하는 개념은 이미 현재진행형이다. 이 중 ‘푸드 어셈블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한 O2O(오투오, Online to Offline) 서비스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의 대안을 제시한다. 유럽 9개국에서 8천 명의 생산자, 17만 명의 소비자가 이용 중인 푸드 어셈블리는 홈페이지에 생산자가 여러 로컬푸드를 올리고, 소비자들은 그중에서 필요한 것을 사들인다. 며칠 후 지역의 호스트(Host)가 적절한 장소에서 작은 시장을 열면, 소비자들은 그곳에서 주문한 상품을 직접 찾아가면 된다.   푸드 어셈블리의 가장 큰 장점은 농가들 스스로 가격 결정을 한다는 점이다. 또 수익구조가 간단하고 투명하다. 오프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지역 호스트는 8~10%의 수수료를,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푸드 어셈블리도 8~10%의 수수료를 받는다. 생산자는 80%이상의 이윤을 고스란히 가져갈 수 있다. 기존 유통망을 이용하면 15~25%의 이윤을 남기는 것에 비해 3~4배 이상 수익이 높다. 벨기에의 공동체 지원 농업(CSA)은 농업인과 지역 주민을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농부는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의 일 년 농사 계획을 설명하고, 지역 주민은 한 가구당 약 40만 원을 농부에게 지원한다. 100가구만 모여도 약 4천만 원의 영농자금이 모이게 된다.또 지자체는 농부에게 땅을 지원한다. 농작물을 수확할 때면 농부는 지원 주민들에게 알리고 주민들은 마트에서 장을 보듯, 농장에 와서 원하는 농작물을 직접 채취해 간다. 선 계약 직거래 방식으로 농부는 안정적으로 농사를 짓고, 소비자는 좋은 먹거리를 유통 마진 없이, 싸게 공급받는 구조가 구축된다. 소비자들의 높은 의식이 농부들에게 정성껏 농사를 짓게 하는 원동력이 되는 셈이다. 국내에서는 농업ㆍ농촌 크라우드 펀딩인 농사펀드를 비롯해 아이쿱, 한고랑나눔운동 등 사회적기업과 생활협동조합 등이 도시공동체와 농촌을 연계한 농장 분양 등을 운영하고 있다. 정자연기자

[지속가능한 미래, 공유농업이 답이다] 上. 공동체 중심의 맞춤형 생산 시스템

[지속가능한 미래, 공유농업이 답이다] 上. 공동체 중심의 맞춤형 생산 시스템 생산자와 소비자가 농산물 생산, 유통에 함께 참여하는 ‘공유농업’이 경기도에서 실현된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농업과 농촌에 소비자가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실험이다. 자유무역협정(FTA)의 거센 여파와 고령화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는 농업에 소비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농업인의 소득 창출로 미래 농업을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된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 공유농업은 사회적 경제를 바탕으로 한 경기도만의 독창적인 생산ㆍ유통 시스템이다. 농지, 시설, 농촌서비스 등 농촌자원을 농민과 소비자가 함께 공유해 생산, 체험 등 관련 활동을 함께하는 사회적경제 활동을 뜻한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공유농업 플랫폼 운영자 모집을 위한 설명회를 열고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농촌자원을 농업인과 도시민과 공유해 함께 가꾸어 나가 농업, 농촌의 지속적인 발전과 지역사회의 행복을 높인다는 취지다. 시스템은 공유경제 개념을 농업에 적용했다. 생산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의 요구에 맞춰 농장과 생산계획, 체험 행사 등을 계획하고 농업인과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공동체 중심의 맞춤형 생산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이다. 이와 유사한 실험은 이미 시작돼 호응을 얻고 있다. 민간 플랫폼인 농사펀드는 펀딩을 진행할 농가를 입점시켜 소비자가 농부에게 직접 투자하고 그 보상물을 수확물로 받도록 한다. 영농자금을 마련하려고 대출을 받고, 농사를 지어도 판로가 막혀 헐값에 중간상인에게 상품을 넘기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민간에서 만든 직거래 유통 플랫폼이다. 농부들은 자신의 상품을 내걸고 농사계획을 플랫폼을 통해 알리고, 투자자에게 보상안(농산물)을 밝힌다. 소비자가 2만 원을 농가에 투자하면 그 투자금액을 종자돈으로 삼아 농부가 농사를 짓고, 수확일에 투자자에게 농산물로 보상한다. 도는 이미 경기도농업기술원을 통해 지난 2016ㆍ2017년 농사펀드에 도내 농가 20여 곳을 입점시켜 펀딩과 수확 활동 등을 진행, 농가에 새로운 실험을 하며 공유농업에 발을 내디뎠다. 경기도 농업정책과 관계자는 “농업에 크라우드펀딩을 접목한 모델은 공유농업 실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중 하나로 체험 활동을 농업과 소비자가 함께하는 등의 다양한 프로젝트가 있다”며 “현재 공유농업 실현을 위한 ICT 플랫폼을 구축 중으로 이달 30일 설명회를 열어 활동가와 농업인, 소비자 등 참가자를 모집해 올 영농철부터 본격적으로 공유농업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