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긴급점검_구리월드디자인시티 어디까지 왔나] 하. 사업 쟁점과 해법

GWDC 조성 사업은 결국 외국인 투자 건이 성사되지 않아 지난 수년 동안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 구리시 등은 상당시간 동안 이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지만 2015년 행안부 투자심사 상태에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런 이유는 DA(개발협약)건이 기폭제로 작용하고 있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취임과 동시, GWDC 조성 사업을 시정 최우선으로 정한 뒤, 전임 B시장 등과 함께 사업 추진을 도모해 왔다. 하지만 올 초 계약 만료일을 앞두고 기존에 체결된 DA를 해지했다. 이유는 지금까지의 추진 상황 등 전반적 여건을 감안, 더이상 기존 협약체계에서는 정상적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사정이 이렇자 DA관계사는 즉각 반발했고 자신들이 포함된 새로운 DA 등을 요구하면서 안 시장 등 구리시를 옥죄기 시작했다. 하지만 시는 선 DA가 아닌 IA(외국인 투자협정)를 포함한 DA만이 이 사업의 정상적 해법이라며 맞서면서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지난달 초 외국계 회사 투자를 둘러싸고 관계 임원 등과 협의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꽉 막혔던 사업에 돌파구를 찾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본보 9월 2일자 12면)이 있었으나 상호 입장차만 확인한 채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협의 테이블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자세한 내용은 공개할 수 없으나 협약의 당사자로서 인정하기 위해서는 파티C로 참여한 기존 DA업체인 A업체(입주기업ㆍ행사유치)의 실체를 먼저 검증해야 한다는 것이 외국인 투자사의 입장이었다고 전했다. 기존 DA업체가 포함된 사업 체계에 대해 신뢰성 문제를 제기한 셈이다. 실제로 이날 미국인 외국계 투자사 임원은 협의 과정에서 파티C로 등장한 이 업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투자에 앞서 선행 단계로 검증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게 최근의 GWDC 사업 현주소다. 결국 종전의 틀(현재 파기)인 구리시와 A업체 등 간 개발협약(DA) 체결 후 투자(IA)를 이끌어 내는 방식으로는 어렵다는 것이 시의 판단이다. 따라서 시는 기존 A업체 등을 포함한 투자유치(운영) 업체가 재무적 투자사와 자산소유자, 시설운영사 등과 상호 내부 협약을 이뤄낼 경우, DA와 IA를 동시에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GWDC 사업 중단이 아닌 투명한 투자유치 등의 방법으로 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해보겠다는 의지 일환인 셈이다. 시 관계자는 준 B-O-O(Build-Own-Operate)형 개발사업은 자금조달, 건설, 소유, 운영, 상환 등 모든 절차를 민간 책임으로 진행하고 이러한 사업준비가 완료됐을 때 공공기관이 비로소 행정절차를 이행할 수 있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반드시 선행돼야 할 것은 자금을 조달하는 재무적투자자(FI)와 시설을 소유, 운영하는 전략적투자자(SI) 등이 사전에 합의한 확고한 사업계획 및 운영계획이 제시돼야 하고 이런 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최대한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새로운 DA 주장측 관계자는 새로운 DA를 체결해주면 곧바로 시설물 운영계획서 및 사업계획서를 제출했을 것이고 IA(외국인 투자협정)도 문제 없이 제출됐을 것이라며 계약(DA)도 안해 주면서 구체적 자료를 제출하지 않는다고 상대방에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온당치 않다는 입장이다. 구리=김동수기자

[긴급점검_구리월드디자인시티 어디까지 왔나] 상. GWDC 사업 현주소

구리월드디자인시티(GWDC) 조성 사업 추진과정을 두고 말들이 많다. 마치 사업 자체가 중단된 것처럼 호도되며, 지역 내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는 수단으로 전락되고 있다. 하지만 GWDC사업은 아직도 시계를 이탈하지 않고 있다. 비록 더디지만 궤적 속에서 새로운 대안과 해법을 찾고 있다. 이에 본지는 GWDC 사업 추진과정 등 현주소와 그에 따른 문제, 그리고 해법을 찾아본다. 편집자주 GWDC 조성사업은 구리시에 남은 마지막 개발여력지 구리 한강변 토평동 80만6천649㎡ 일원에 세계적인 인테리어 디자인 관련 업체를 유치하려는 초대형 프로젝트(본보 8월 21, 22일자 12면)다. 강북변의 강남으로 치부되고 있는 이곳 한강변 개발사업은 지난 10여년 전 사업 추진 당시부터 대내외적 주목을 받아오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의도만큼 쉽지가 않았다. 지자체 개발사업에 있어 선행과제인 행정안전부 투자심사 문턱을 넘지 못한 채 수차례 좌절을 맛봐야 했기 때문이다. 그 마지막 단계가 지난 2015년 5차 행안부 투자심사다. 이후 시장이 바뀌면서 좌초 위기를 맞다 민선 7기 안승남 시장이 취임하고 난 후 재가동되고 있는 형국이다. 구리시가 추진하는 구리월드디자인시티(GWDC) 조성사업은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민관협동형 사업이다. 시가 민간이 할 수 없는 행정인허가나 토지수용을 담당하는 한편, 민간의 경우 자금조달과 함께 건설, 소유, 운영 등을 맡은 이른바 B-O-O(Build-Own-Operate) 형태의 사업이다. 민관이 상호 협력 보완해야 하는 만만치 않은 사업이다. 문제는 이 사업이 당초 의도대로 정상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과제가 있다. 바로 지난 2015년 10월 28일 행정안전부가 제시한 보완사항 충족이다. 당시, 행안부 요구 조건은 첫째 외국인 투자와 관련, 총사업비에 대한 투자자별 지분 관계를 명확히 한 외국인 직접 투자다. 여기에다 외국인 투자 의향과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입증 자료 제출을 제시했다. 이 두 가지 조건은 반드시 선행돼야 할 과제다. 행안부는 여기에다 사업 규모 조정에 따른 경제성 및 재무성 분석 등을 포함한 마스터플랜 수립을 요구했다. 현재 시의 마스터플랜(민간사업자 제출)은 이미 완료했다. 경제성 또한 뛰어난 것을 확인, 세번째 사항 충족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외국인 투자 관련 핵심 사안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시는 지난 4월과 8월, 심사의뢰를 철회했다. 결국, 지난 수년간 발목이 돼 온 외국인 투자 방안을 아직까지 찾지 못하면서 이 사업이 겉도는 요인이 되고 있는 셈이다. 시 관계자는 행안부 지방재정투자사업 심사 및 타당성 조사 매뉴얼 투자심사 의뢰서에 사업계획 확정 및 운영계획 구체화를 명시하고 있는데, 마스터플랜과 재무ㆍ경제성 분석 용역 결과물은 민간사업자로부터 제출되었으나 현 시점에서는 시설을 소유ㆍ운영할 주체도 결정되지 않았고 이에 따라 구체적인 사업 계획 및 운영계획도 접수되지 않았다면서 이에 따라 행안부 심사의뢰 포기 등 일련의 조치는 시로써 어쩔 수 없는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밝혔다. 한편, GWDC 사업은 민선 4기인 2008년 추진됐으나 10년이 넘도록 착공하지 못하고 있다. 2012년 고시된 뒤 2015년 국토교통부 중앙도시계획위원회가 사업부지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조건부로 의결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구리=김동수기자

지역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