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경기옛길을 걷다]③ 바람소리, 풍경소리에... 절로 힐링

저마다 사연 하나씩... 불심 가득한 산사에서 비우고 또 채운다

카지노 도박 사이트

image
화성시 송산동의 용주사 경내 전경. 장영준기자

경기옛길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문화재가 '절'이다. 경기옛길 위에 자리한 절들은 저마다의 사연을 하나씩 품고 있다. 정조의 불심과 효심을 담은 사찰,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된 뒤 다시 방문했다는 사찰, 고려 선종의 아들 한산후를 탄생시킨 쌍미륵이 있다는 사찰 등 흥미로운 이야기들로 가득하다. 그동안 무심코 지나쳤던 깊은 산 속 절들이 우리에게 또 어떤 신비로운 이야기들을 들려줄 지 경기옛길에 올라 귀 기울여봤다. 

image

■ 정조의 불심과 효심이 담긴 용주사

image
화성의 대표적인 사찰 용주사 삼문 앞. 장영준기자

쏟아지는 햇빛에 연신 땀이 흐르던 지난달 26일 오전, 수원시 권선구 평리동의 배양교를 지나 화성의 대표적인 사찰인 용주사에 도착했다. 화성시민이라면 모를 수가 없는 용주사이지만 경기옛길 삼남길 제6길 화성효행길 탐방 중에 만난 용주사는 새롭게 다가왔다. 용주사에 들어서기 전 도롯가에는 커다란 삼남길 지도가 세워져 있었다. 특히 삼남길이 '서울 숭례문에서 시작해 해남 땅끝 마을까지 1천리에 이르는 한반도의 동맥과 같은 길'이라는 설명이 흥미로웠다. 지도를 둘러본 뒤 용주사의 입구인 사천왕문으로 향했다. 그리고 삼문에 다다르자 귀여운 보살 캐릭터가 우리를 반겼다.

image
화성시 송산동의 용주사 경내. 곽민규PD

지금의 용주사가 있기 전 이 자리에는 854년(신라 문성왕 16년)에 세운 갈양사가 있었다. 하지만 952년 병란으로 소실되고, 이후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살피기 위해 용주사를 세웠다. 그의 지극한 효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정조와 함께 용주사와 인연이 된 인물은 또 있는데, 바로 '승무'의 조지훈 시인이다.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라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한 시를 지은 인물이다. 조지훈 시인은 일제 강점기 말기에 혜화전문학교 재학 중 우연히 용주사에서 승무를 보고 이를 시로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이유로 용주사 경내에 들어서면 조지훈 시인의 '승무' 시비를 볼 수 있다.

용주사를 나와 북쪽으로 방향을 틀면 화산저수지를 거쳐 세마교에 도착한다. 시간은 약 50분 가량 소요된다. 화성효행길을 포함한 경기옛길 삼남길은 총 99.6km에 이르며, 서울을 기점으로 과천, 안양, 의왕, 수원, 화성, 오산, 평택으로 이어진다.

image

■ 용이 되돌아온 절, 회룡사

image
회룡탐방지원센터∼회룡사 구간 내 계곡과 둘레길 계단. 장영준기자

망월사역 3번 출구에서 약 40분 정도 걸으면 회룡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한다. 회룡사는 경흥길의 첫 관문인 제1길 사패산길을 걷다보면 만날 수 있는 절이다. 삼삼오오 다니는 등산객들을 따라 올라가다보면 어느새 회룡사 입구에 도착한다. 최근 비가 많이 내려서인지 계곡에는 시원한 물소리가 가득했다. 울창한 숲에 들어와 힘차게 흐르는 물소리를 듣고 있으니 절로 힐링이 되는 듯했다. 이윽고 회룡사 입구로 들어서자 사찰 특유의 웅장한 전경이 한 눈에 들어왔다. 한 켠에는 회룡사의 연혁을 알려주는 표지판이 등산객들을 맞이하고 있었다.

image
입구에서 바라본 회룡사 모습. 장영준기자

회룡사는 본래 681년(신문왕 1년) 의상이 창건해 법성사(法性寺)라고 불렀다. 그러다 1384년 왕이 되기 전 이성계가 무학대사와 함께 이 절에 와서 기도를 드렸고 이후 동북병마사가 돼 요동으로 출전했다. 위화도회군을 성공시킨 이성계는 훗날 조선의 왕이 됐고, 다시 이곳으로 찾아온 일로 절 이름을 '회룡사'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일설에는 1403년 태조가 함흥차사들의 끈질긴 노력에 노여움을 풀고 귀경해 무학대사를 찾아왔고, 무학은 회란용가(回鸞龍駕)를 기뻐해 회룡사라 불렀다는 설도 존재한다.

이성계와 무학대사의 이야기를 뒤로 하고 회룡사를 나와 경기옛길 코스로 복귀해 약 1시간 정도 걸으면 의정부시청에 도착한다. 그리고 의정부 역에 이르러 사패산길은 끝이 난다. 사패산길이 포함된 경흥길은 총 89.2km로, 의정부시와 포천시를 아우른다. 

image

■ 쌍미륵을 만날 수 있는 용암사

image
용암사 경내로 들어서기 위한 입구로 향하는 계단. 그 옆에 경기엣길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스탬프함이 자리하고 있다. 장영준기자

의주길 쌍미륵길에는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곳이 두 군데 있다. 그 중 한 곳인 용암사에 도착해 주차장에서 입구로 향하는 계단에서 스탬프함을 발견했다. 바닥에는 의주길 서울 방향과 의주 방향을 스티커로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었다. 제법 높은 계단을 힘겹게 올라 입구에 도착했다. 다시 경사진 오르막길을 올라 경내에 들어섰지만 용암사의 보물인 용미리마애이불입상(쌍미륵)은 찾지 못했다. 마침 한 스님의 안내를 받아 안쪽 계단을 올랐고 드디어 쌍미륵을 만날 수 있었다. 최근 폭우로 인해 발판 아래가 무너져 위험해 보였지만 쌍미륵은 굳건히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image
용암사에 자리한 용미리마애이불입상.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남상과 여상의 모습이 뚜렷하고 거대하게 보존돼 있다. 장영준기자

용암사는 이 쌍미륵 덕분에 '쌍석불사'라고도 알려져 있다. 구전에 따르면 고려 선종(1084~1094년)의 후궁인 원신궁주로 하여금 아들을 낳게 하기 위해 불상을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느 날 꿈에 두 도승이 나타나 "우리는 장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바위 틈에 사는 사람이다. 매우 시장하니 먹을 것을 달라"며 사라졌고, 이에 선종은 즉시 바위에 두 도승을 새기게 해 불공을 드려 왕자 한산후를 얻을 수 있었다는 내용이다. 쌍미륵 중 둥근 갓의 불상은 남상(男像), 모난 갓의 불상은 여상(女像)이라고 한다.

용암사에 이어 쌍미륵길의 다음 목적지는 고려시대의 명장 윤관장군의 묘다. 이어 신산리 버스정류장까지 다다르면 총 14km의 여정이 끝난다. 제3길인 쌍미륵길을 포함해 제1길 벽제관길, 제2길 고양관청길, 제4길 파주고을길, 제5길 임진나루길까지 고양시와 파주시에 걸쳐 총 56.4km에 이르는 의주길은 아직도 전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가득 품은 채 옛길러들의 방문을 기다리고 있다.

글·사진=장영준기자 / 영상촬영=곽민규PD

© 경기일보(committingcarbicide.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