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천년경기, 천년보물] ‘소를 기르는 영척’ 이야기 거울

거울 속 담긴 ‘희망의 교훈’

카지노 도박 사이트

%EC%A0%9C%EB%AA%A9%20%EC%97%86%EC%9D%8C-1%20%EC%82%AC%EB%B3%B8.JPG
우리는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외출 준비를 하고, 손거울로 자주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옛날사람들은 어떻게 자신의 모습을 보았을까? 아마도 처음에는 잔잔한 물에 얼굴을 비추어 보았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청동거울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당시 거울은 권위를 상징하는 물건 또는 주술적인 도구였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양질의 동의 생산과 제작기술의 발달로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한 많은 양의 청동 거울이 제작되었다. 중국에서 수입된 거울을 틀로 떠내어 똑같이 제작하거나, 문양의 일부를 본 따 변형시켜 만들기도 하였다. 둥근모양 외에 네모모양, 꽃모양, 모서리가 뾰족한 모양, 종모양 등 다양하다. 얼굴을 비추는 반대쪽에는 여러 가지 상징적인 무늬를 장식하였는데 물고기, 용, 꽃과 풀 등의 무늬뿐 아니라 중국의 신선세계, 당시 유행하던 소설의 한 장면, 한편의 시, 바다를 항해하는 장면 등 다양한 이야기를 새겼다.

 

경기도박물관 2층 상설전시실 입구 테마전 <교과서 돋보기>에도 고려시대 거울 한 점이 있다. ‘소를 기르는 영척(寧戚飯牛)’이야기 거울이다. 1994년 경기도박물관에 입수되었지만 더 화려하고 정교한 여러 거울들에 밀려 전시실 빛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 보존처리를 통해 ‘갈고 닦이면서’ 드디어 14년 만에 <교과서 돋보기>라는 무대를 통해 첫 선을 보이게 되었다.

 

이 거울에는 두 인물과 소 한 마리가 새겨져 있는데 그 안에 담긴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영척(寧戚)은 중국 위나라 사람으로 고고한 덕을 갖추었으나 가난하여 소를 기르며 살았다. 어느 날 소뿔을 두드리며 “남산은 깨끗하고 흰 돌은 눈부신데 살아생전 요순시대 못 만났네” 노래를 불렀다. 제환공이 이를 듣고 그의 남다른 인품에 감명 받아 공경의 벼슬을 내렸다고 한다. 고된 일을 하더라도 능력과 인품이 있다면 언제든 나라를 위해 훌륭한 일을 할 수 있다는 뜻을 담고 있다. 얼굴을 비춰보는 것 뿐 아니라 마음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교훈이 담겨 있는 것이다.

 

‘소를 기르는 영척’ 이야기 거울은 오는 7월24일까지 경기도박물관에 전시 될 예정이다.

 

조현이 경기도박물관 학예사

© 경기일보(committingcarbicide.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