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2020 박물관 미술관을 가다] 30.김포다도박물관

2001년 개관… 차 관련 유물 3천점 소장
3만3천㎡ 규모 부지에 ‘조각공원’ 갖춰
제1전시실 다양한 다기 등 규방문화 재현
제2전시실 30년 이상 된 근대작품 전시
한국문화 전도사 손민영 관장 열정 결실

카지노 도박 사이트

관람객들이 전통 다례체험을 하고 있다. 다례란 다구 등을 활용해 차를 마시는 예절범절를 의미한다.

김포 운양역에서 7번 버스를 타고 30여분을 달려 김포다도박물관 정류장에서 내렸다. 박물관 입구에 놀라운 풍경이 펼쳐졌다. 길 옆 밭에 황금빛의 민들레꽃이 지천으로 피어있다. 늦가을에 봄날의 화사한 풍경을 볼 줄이야. 풍수지리를 잘 몰라도 명당에 박물관이 자리 잡았다는 사실을 알겠다. 여남은 마리 거위가 한가롭게 물질을 하는 연못 주변의 나무들이 스무 살 청년처럼 말쑥하다.

김포다도박물관(관장 손민영)은 한국의 차 문화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01년에 문을 연 사립박물관으로 3천여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3만3천㎡의 너른 부지에 조각공원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다도박물관을 왜 이처럼 외진 곳에 세웠을까. 안내를 맡아준 안정아 국장이 그 까닭을 들려준다.

 

■ 한재 이목과 김포의 차문화

“초의선사의 ‘동다송’보다 300년 전에 ‘다부(茶賦)’를 지어 차의 아버지로 불리는 한재 이목 선생님이 김포 출신입니다. 그 분의 묘소와 사당이 여기서 가까운 애기봉 아래에 있습니다. 김포가 한국 차문화의 역사성을 오롯이 간직한 고장이기 때문에 이곳을 선택한 것이지요.” 안국장은 설명을 이어간다. “그러나 선생이 지은 ‘다부’는 1980년대에 비로소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같은 유명 학자들과 차로 깊은 인연을 맺은 초의선사의 ‘동다송’은 세상에 널리 알려졌으나 한재의 ‘다부’는 오랜 세월 묻혀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차의 산지로 널리 알려진 전라도 보성이나 경상도 하동과 달리 김포는 차 생산지도 아니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조선시대 제작된 ‘곱돌풍로’. 2단으로 이뤄진 풍로로 아래 바람구멍을 통해 불을 피우는 도구.

‘차의 아버지’로 불리는 한재 이목(寒齋 李穆, 1471~1498)은 김포시 하성면 가금리에서 태어나 점필재 김종직 선생 문하에서 수업을 받고 19세의 나이에 진사시에 합격했던 수재였다. 선비의 도를 실천하는 기호품으로 차를 즐겼던 한재가 지은 ‘다부(茶賦)’는 총 1천332자로 이루어졌는데, 차의 일곱 가지 효능과 차의 다섯 가지 공, 그리고 차의 여섯 가지 덕을 노래한다. 이중에서 차의 일곱 가지 효능을 이렇게 정리했다. 마른 창자가 깨끗이 씻겨 진다(장설腸雪), 신선이 된 듯 상쾌하다(상선爽仙), 온갖 고민에서 벗어나고, 두통이 사라진다(성두醒頭). 큰마음이 일어나고, 우울함과 울분이 사라진다(웅발雄發). 색정이 사라진다(색둔色遁), 마음이 밝아지고, 편안해진다(방촌일월方寸日月), 마음이 맑아지며, 신선이 되어 하늘나라에 들어선 듯하다(창합공이?闔孔邇). 이처럼 한재는 ‘내 마음의 차(吾心之茶)’를 노래한 한국 최고의 다인이다.

제1전시실에는 차 관련 다기를 비롯한 유물과 규방문화를 재현해 놓았고, 제2전시실에는 주로 30년 이상 된 근대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특별 전시실에는 현재 3대가 그린 그림을 전시하고 있다. 현재 다도박물관은 소장하고 있는 3천여 점 중에서 3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다도박물관 곳곳에 손민영 관장은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다. 손 관장은 오래 전부터 한국 문화를 외국에 알리는 일에 열정을 쏟았다. 그리스 아테네올림픽기념(2004), 오페라하우스에서 가진 호주 수교50년 기념(2008), 북유럽-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수교50주년 기념((2009), 터키수교50주년 기념(2017) 등 국제행사에 한국문화사절단을 이끌었다. 국제행사에서 차문화는 물론 도자기와 장신구, 조각보 등을 전시하여 한국의 미와 문화를 세계에 널리 알렸다.

박물관은 해마다 5월 셋째 주 토요일에 유치원 아이들부터 일반인 및 군인 등 특별계층과 함께하는 다례경연대회 전통문화큰잔치를 열고, 6월 첫째 주에는 전국한재차회와 한재 이목 선생을 모시는 한재당에서 헌공다례의식을 35년째 이어오고 있다. 또한 안양소년원을 찾아 차와 전통예절, 성년의식 같은 문화를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 활동도 지난 20여 년 동안 꾸준하게 벌여왔다.

 

김포시 월곶면에 위치한 김포다도박물관은 차(茶)문화와 한국 전통예절을 계승·발전시키고 연구, 보급하는 박물관이다. 김포다도박물관전경.

■ 이천년을 이어온 한국의 차문화

전시관 입구에 걸린 고려시대의 그림에서 한국의 융성했던 차문화를 엿볼 수 있다. 그림 속에는 젊은이가 무릎을 꿇고 앉아 발이 세 개 달린 화로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 전시실에서 처음 만난 소장품은 ‘다부’의 1천332자를 예서체로 쓴 서예작품이다. 그 옆으로 청동구리로 만든 솥과 무쇠로 만든 솥이 나란히 진열되어 있다. 물병은 생김새가 천차만별이지만 옛 장인의 미의식이 잘 전해주는 유물이다. 우려낸 차를 한 곳에 따르는 물그릇과 찻잔도 크기와 생김새와 빛깔이 다르지만 여유가 느껴진다.

조선 여성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규방도 눈길을 끈다. 얼핏 보면 자개로 장식한 것 같은 장롱을 비롯한 방안에 놓인 가구는 수를 놓은 것이다. 한국 여인의 바느질 솜씨가 그저 놀라울 뿐이다. 한국미를 물씬 풍기는 조각보를 전시한 통로를 지나면 제2전시실이다. 장식장에 가득한 찻잔들은 다인들이 봄가을, 여름과 겨울에 사용한 다기들을 달리 사용했던 사실을 알려준다. 그렇다. 겨울에는 잔이 두텁고 깊어야 온기를 오래 간직할 터이다. 눈길을 끄는 유물은 대추나무로 만든 ‘귀면형 연’이다. 차나 약재를 잘게 부수는 도구답게 반들거리는 손잡이에서 따스한 기운이 전해진다. 고려인들이 애용한 떡차는 차를 잘 다져 둥글납작하게 만들고 가운데 구멍을 뚫어 끈으로 꿰어 처마 밑이나 시렁에 걸어두고 숙성시킨 발효차였다.

돋을새김으로 꽃모양을 조각한 청자 주발인 청자양각화문완(靑磁陽刻花紋碗)은 고려 귀족들의 취향을 느낄 수 있고, 흑유양이병(黑釉兩耳甁)은 사람의 귀처럼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특이한 병이다. 쪽빛 청자보다 검은빛이 감도는 투박한 이 유물에 마음이 가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1전시장은 한·중·일 다도구류 300여점 및 차 문화를 접할 수 있다.

풍로는 수십 년 전만해도 불을 피울 때 사용했던 생활도구였다. 한국의 산천을 닮은 것 같은 곱돌풍로는 박물관이 자랑하는 대표 유물의 하나다. 풍로는 유난히 눈길을 끌었다. 바람을 불어넣어 불길을 세게 했던 풍로의 부드러운 질감과 짙은 색깔이 웅숭깊은 한국인의 마음을 닮은 듯하다. 한겨울이면 놋쇠 화로에 식구들이 둘러앉았다. 빨간 숯불을 피우면 아이들은 군밤을 굽고 어른은 찻잎을 넣은 주전자를 올려놓아 이따금 뜨거운 차로 몸을 덥혔을 것이다. 놋쇠 세발화로는 조선 선비처럼 단아하다.

전시실 곳곳에 걸린 글귀를 음미해 보는 것도 차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추사체로 판각한 “다반향초(茶半香初)”부터 음미해 보자. ‘차를 마신지 반나절이 지났는데 향이 처음 같다’는 이 말은 ‘동다송’을 지은 초의선사와 같은 해에 태어나 돈독한 우정을 가진 추사 김정희가 남겼다. 무소유로 널리 알려진 법정스님의 글씨를 새긴 서각도 있다. “홀로 마신 즉 그 향기와 맛이 신기롭더라.” 한재의 ‘다부’를 새긴 전서체의 서예와 이를 한자 한자 나무에 새긴 작품은 세월이 많이 흐르면 문화재로 보존될만한 명작이다.

고려 학자 이곡(1298~1351)이 지은 ‘동유기’에서 신라 화랑들이 차를 즐기며 심신을 단련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화랑들은 차를 나누어 마시며 서로 강하게 결속하였고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예로써 화합할 수 있었다. …화랑들이 사용하던 차 도구가 동해 바닷가에 여러 곳에 남아있는 것을 보았다.”

송나라 사신으로 고려를 다녀 간 뒤에 ‘고려도경’을 지은 서긍은 고려의 융성한 차문화를 이렇게 전한다. “고려인들은 차 마시기를 매우 좋아하여 다구를 더욱 잘 만드는데 금꽃이 있는 검은잔, 청자 작은 찻잔, 은화로, 세발 차솥 등이다.” 서긍의 말을 입증해주듯 고려 때 강진에서 제작한 것으로 전해지는 ‘고려청자 연잎찻잔’은 예술성이 빼어난 유물이다.

손민영 김포다도박물관장.

■ 내 마음을 다스리는 차 한 잔 나누는 여유

김포다도박물관의 아름다운 풍경은 입소문을 타고 방송계에 알려져 영화와 드라마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장혁, 이다해 주연의 ‘아이리스2’와 신성록, 장나라 주연의 ‘황후의 품격’의 촬영지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11월 중순이다. 마음이 바빠지는 때다. ‘차 한 잔의 여유’가 필요한 때다. 고려인들이 후손들에게 ‘다반사’라는 말을 남겼듯이 우리도 바쁜 일상이지만 한 잔 차를 마시는 여유를 가지고 한해를 갈무리하면 좋지 않을까. 오래 만나지 못한 정다운 벗이 있거든 다도박물관에서 만나기로 기약하자. 벗과 차를 나누며 그윽한 만추의 정취를 가슴에 담아보자. 500년 전 한재 이목선생처럼 ‘내 마음을 다스리는 차’를 만나는 기쁨을 맛보시길.

김영호(한국병학연구소)

© 경기일보(committingcarbicide.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