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100세 시대의 그늘, 치매환자 100만명 눈앞] 3. 환자가 버거운 치매안심센터

전문인력 부족한데… 그마저 고령·비정규직

카지노 도박 사이트

치매안심센터 인력이 정부 기준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데다가, 이들 중 70% 이상이 ‘비정규직’인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치매파트너’라 불리는 전문 요양보호사의 10명 중 4명이 70대 이상의 고령 인력인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중앙치매센터와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17년 말 ‘치매 국가책임제’를 발표하면서 치매안심센터의 적정 인력이 1곳당 25명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도내 상당수 센터의 경우 간호사,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임상심리사 등 10~13명의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5월 기준 도내 치매안심센터 46곳의 종사자 수는 총 619명으로, 정부가 발표한 적정 인력보다 50%가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문제는 이 같은 종사자들 10명 중 7명이 비정규직이라는 점이다.

센터 종사자들은 정규직인 전일제와 비정규직인 시간선택제, 무기계약직, 기간제계약직 등 4가지 형태로 고용되는데 경기도 센터 내 ‘비정규직’ 비율만 71.7%에 달했다.

가장 많은 고용 형태는 시간선택제(231명ㆍ37.3%)였으며, 이어 전일제(175명ㆍ28.3%), 무기계약직(133명ㆍ21.5%), 기간제계약직(80명ㆍ12.9%) 순이다.

일자리 자체가 불안정하다 보니 젊은 인력은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하는 것을 기피하게 되고, 센터는 정부의 인력 기준을 채우기 위해 ‘치매 파트너’라 불리는 전문 요양보호사 등을 찾게 된다.

도내 12만9천여 명의 요양보호사 중 60대가 12%, 70대 이상이 38%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결국 센터로 들어가는 종사자 역시 연령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지난해 문을 연 도내 한 치매안심센터 관계자는 “자체적인 치매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어도 직원이 10명에 불과하고, 젊은 사회복지사를 채용하고 싶어도 병원 등에서 근무하고 싶어하지 센터에 지원하지 않는다”며 “기존 관리 대상자를 신경 쓰기도 벅차 다른 치매환자를 새로 데려올 수가 없다”고 전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치매 전문 요양보호사 양성에 힘써 2022년까지 매년 2만7천명 씩 늘리고, 센터 시설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인력을 지원하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연우ㆍ채태병기자

 

© 경기일보(committingcarbicide.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