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코로나 365, 경기도 리포트] 취업 4만명↓, 실업 1만명↑… 경제 뒤흔든 1년

취업자 IMF 이후 처음 감소세...도소매·음식숙박업 13만2천명↓

카지노 도박 사이트

국내 코로나19 최초 확진자 발생 1년째를 맞은 현재‚ 지역경제는 수출‚ 내수 모든 분야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소상공인들의 휴ㆍ폐업이 이어지고 실업자는 증가했으며 수출전선 역시 큰 타격을 입었다. 보건당국 및 의료진의 헌신과 시민의 공동체 의식으로 고비를 넘기고 있지만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조주현기자

2020년 1월20일 대한민국에 첫 코로나 확진자가 발생했다. 1년이 지난 오늘(20일),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이 자의반, 타의반으로 바뀌었다. ‘마스크’는 국민 모두의 필수품이 됐고, ‘거리두기’는 자연스러운 일상이 됐다. 이처럼 우리의 일상이 돼 버린 코로나19는 경제, 사회, 문화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엄청난 파장을 몰고 왔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완전히 뒤바뀐 우리들의 삶을 되짚어본다.

편집자주

지난 1년 동안 경기도 지역경제는 코로나발 충격을 그대로 흡수했다. 경기지역 취업자 수는 1998년 외환 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으며, 실업급여 지급액 역시 역대 최대를 기록하는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경제 위기는 이제 우리 삶과 뗄 수 없는 아픈 존재가 돼 버렸다.

19일 경인지방통계청의 ‘2020년 경기도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지역 연간 취업자수는 690만9천명으로, 1년 전에 비해 4만3천명 감소했다. 경기지역 취업자수가 감소한 것은 지난 1998년 외환 위기 이후 22년 만에 처음이다.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ㆍ음식숙박업(-13만2천명), 사업ㆍ개인ㆍ공공서비스 및 기타(-7만명), 전기ㆍ운수ㆍ통신ㆍ금융업(-5만명), 농림어업(-8천명)이 큰 타격을 입었다.

실업자수 역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경기지역 실업자는 28만5천명으로, 2019년보다 1만1천명(3.8%) 증가했다. 최근 4년간 3%대를 지켰던 실업률은 4.0%로 올랐다.

실업자 증가에 따라 2020년 실업급여 지급액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해 실업급여 지급액은 3조1천823억원으로, 2019년 2조1천648억원 대비 47% 증가했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2016년 1조2천256억원, 2017년 1조2천728억원, 2018년 1조6천494억원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였지만, 이처럼 눈에 띄게 폭증한 것은 코로나19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특히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1천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서 실업급여 지급액 증가율이 두드려졌다. 1천명 이상의 사업장은 실업급여 지급액이 2천235억원에서 3천920억원으로 올라 75.4%의 증가율을 기록,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어 70~99인(58.4%), 100~149인(51.7%), 150~299인(5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수출도 코로나19의 여파를 피해 가지는 못했다. 2020년 경기도 수출액은 1천153억달러로, 2019년 1천166억달러보다 1.1% 감소했다. 비대면 문화가 활성화되며 수요가 급증한 반도체(10.6%)만이 상승했을 뿐 자동차(-17.6%), 철강제품(-9.4%), 기계ㆍ정밀기기(-0.6%) 등 대다수 품목에서 수출이 감소했다.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의 체감 경기전망에도 먹구름이 1년간 사라지지 않았다. 지난해 1~2월 80대를 유지하던 경기지역 중소기업 업황전망은 4월 56.8로 최저점을 찍은 뒤 12월까지 70대를 맴돌았다. 경기지역 소비자심리지수 역시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지난해 1월 104.6을 나타냈으나, 2월부터 하락해 4월에는 75.3까지 하락했다. 이후 조금씩 회복해 12월에는 90.5를 기록했으나 결국 평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코로나19와 함께 한 1년간의 지표에서 실물 경제는 그야말로 마지노선마저 넘어선 형국을 보여줬다.

신기동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운영난을 겪는 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이 많아지며 자연스레 실업률도 늘어났다. 경제는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어 회복도 더딘 상황”이라며 “코로나19로 산업구조가 바뀌는 과정에서 변화에 발맞춰 기회를 찾아갈 수 있도록 지원을 유도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태희ㆍ한수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