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공공기관 이전의 그늘] 1. 이전 지역의 현주소

끊긴 발길, 꺼진 불빛… 나락에 빠진 지역경제

카지노 도박 사이트

텅 빈 상가 지방행정연수원과 국세공무원교육원이 타지역으로 이전한지 6년여가 지났지만 수원시 파장동 일대 상가 밀집지역 상권은 여전히 암흑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추석연휴 마지막 날인 26일 이일대 점포 곳곳에 임대 현수막이 내걸려 침체된 지역 경제를 대변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으로 지난 2012년부터 경기도 내 공공기관이 대부분 지방으로 이전했다. 공공기관이 떠난 지 벌써 6년여가 지났지만 주변 상권은 여전히 경제적 암흑기에 빠져 있고 일자리마저 사라져 지역경제가 공동화됐다. 이러한 후유증이 가시기도 전에 정부와 여당이 추가로 도내 18개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해 공공기관 인근 자영업자들에게 충격과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이에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한 현주소를 살펴보고 대안을 모색해 본다. 편집자 주

추석명절을 며칠 앞둔 밤 10시께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은 암흑천지나 다름없다. 거리에 세워진 가로등과 이따금 지나가는 차량의 불빛 말고는 모든 빛이 죽어 있다. 이곳이 음식점과 술집이 모여 있는 상가가 맞는지 의문이 들 정도였다. 사람의 온기가 사라진 이곳에 부는 가을바람은 더욱 스산하게만 느껴졌다.

 

몇해 전 이 일대 있던 지방행정연수원(2013년 전북 완주 이전)과 국세공무원교육원(2015년 제주 서귀포 이전)이 지방으로 떠나기 전만 해도 이곳은 북수원의 번화가로 명성이 자자했다. 저녁과 밤거리에는 휘황찬란한 불빛 속에 수많은 인파로 북적였고, 식당과 술집에도 손님들로 가득 차 상인들은 즐거운 비명을 질렀다. 또 연수원, 교육원의 장ㆍ단기 교육생을 위한 원룸, 하숙집도 성황을 이뤘다.

 

파장동에서 식료품 마트를 운영하는 Y씨(60)는 “공공기관 지방 이전은 한쪽을 살리는 대신 다른 한쪽은 죽이는 반쪽짜리 정책”이라며 화를 냈다. Y씨는 이들 기관이 떠나기 전만 해도 월매출 5천만 원을 유지했으나 기관들의 지방 이전 이후 해마다 매출이 줄어 현재 1천500만 원까지 추락했다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지난 20일 낮 12시 30분께 과천시 중앙동 과천시청 인근의 한 음식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손님으로 붐벼야 할 점심에도 홀은 텅 비어 있었다. 12년째 이 가게를 운영하는 L씨(54ㆍ여)는 “정부 과천청사를 비롯한 중앙공무원교육원 등 몇몇 공공기관이 이전하기 이전인 5년 전에는 점심 성업시 수십만 원의 매출을 올렸지만, 공공 기관 이전으로 하루 10만 원을 손에 쥐는 날도 잦아들었다”고 한숨 쉬었다. L씨는 결국 더는 버틸 수 없어 작년 6월 가게를 내 놔도 지금껏 가게를 사겠다는 소식은 없다.

 

인근에서 15년째 술집을 운영하는 P씨(55)도 과거 몰려드는 손님으로 하루 수백만 원의 매출을 올렸는데 현재는 가게 임대료도 내기 어렵다고 하소연했다.

 

공공기관이 떠난 지역은 집값도 크게 하락했다.

 

지난 2012년 파장동의 평균 원룸 가격은 보증금 500만 원에 월세 40만 원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보증금 250만 원에 월세 25만 원 선으로 크게 하락했다. 이마저도 찾는이가 없어 공실률도 높아 빈집도 수두룩하다는 게 부동산 중개업자들의 설명이다.

 

과천시 별양동에 있는 23㎡짜리 상가의 경우 보증금 1천만 원에 월세 60만 원이었던 것이 현재는 보증금 200만~300만 원에 월세 20만 원까지 푹 주저앉았다.

 

이 같은 공공기관 이전 후폭풍은 연구결과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경기연구원의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 현황 및 파급 효과 연구’를 보면 공공기관 이전지역의 음식점 주인 95%가 매출에 직격탄을 맞았다고 응답했다. 또 기관 이전 후 주변 상가의 권리금과 임대료가 감소했다고 응답한 음식점주도 65%에 달했다.

 

김태경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공공기관 주변 상권 매출의 큰 부분을 기관 직원들이 차지하고 있다”며 “과거와 마찬가지로 도내 18개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떠난다면 크고 작은 경제적 부작용이 뒤따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권혁준ㆍ김해령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