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지노 도박 사이트

[지속가능한 미래, 공유농업이 답이다] 하. 경기도의 실험

이제 막 걸음마… 그래도 미래는 밝다

카지노 도박 사이트

▲ 경기도 공유농업 구조
국내에서는 지역사회 기반의 공유농업이 이제 막 실험을 시작한 수준이다. 하지만, 4차산업 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농정 전략으로 공유농업은 많은 가능성을 던져준다. 소비자는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를 얻고 농업인은 새로운 소득 창출, 농촌은 활력을 얻을 수 있는 발판으로 삼을 수 있다.

 

경기도는 이런 공유농업의 실질적인 구축과 확산을 위해 자원 공유, 협력생산으로 농업의 패러다임을 바꿨다.

 

우선 민간의 플랫폼 기업이 사업을 주관, 공유 농업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공공부문은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한다. 현장에서 운영하는 현장 활동가를 조직, 사업에 참여하는 농업인과 소비자는 공동체로 조직화한다. 이 경우 소비자는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 서비스로 보상받으면서 농업ㆍ농촌과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농업인은 새로운 소득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텃밭, 체험농장 등 지역 내에서 연대해 농촌 공동체가 소유한 농지(농촌자원)를 플랫폼을 통해 매칭된 도시 공동체에 분양하고 농사는 농촌 공동체가 담당하며 수수료는 플랫폼을 통해 농촌 공동체에 전달하는 도시농업 확장형을 진행했다. 

올해는 클라우드 펀딩을 접목한 주문형 생산으로 생산자 조직화를 목표로 한다. 도시 공동체의 사전 주문에 따라 생산계획을 수립, 농촌 공동체는 수립된 계획에 따라 농산물을 생산하고 수확한 농산물을 도시 공동체에 인계하는 방식이다. 구매대금은 계획 수립 때 농촌 공동체에 지급해 영농자금으로 활용한다.

 

내년에는 인공지능(AI)기반의 소비자 개인 맞춤형으로 AI에 계획 생산을 더해 전국 단위로 확장한다. 특히 ICT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거래 비용을 최소화하고 농촌 환경 보전, 소비와 생산의 미스 매칭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오는 2022년까지 도내 농산물 생산량의 10%, 1천억 원 규모로 공유농업 비중을 확대하기로 하고 공유농업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공유농업 활동가 육성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자연기자